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os:system:usage:mem:proc_meminfo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양쪽 이전 판 이전 판
os:system:usage:mem:proc_meminfo [2010/01/09 10:25]
starlits
os:system:usage:mem:proc_meminfo [2010/01/09 10:27] (현재)
starlits
줄 27: 줄 27:
 ===== Memory Statistics ===== ===== Memory Statistics =====
  
 +^ HighTotal | 상위 영역(high region)에 존재하는 메모리의 전체 양으로, Highmem은 physical RAM에서 대략 860MB 위의 메모리를 의미한다. \\ 커널은 상위 영역의 메모리 메모리에 접근하기 위해 간접적인 트릭(indirect tricks)을 사용한다. \\ 데이터 캐시가 이 메모리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. | 
 +^ LowTotal | 비상위메모리(non-highmem) 영역에 대한 총량  |
 +^ LowFree | 하위메모리 영역(low memory region)의 빈 공간. \\ 커널이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으로, 모든 커널 데이터구조(datastructures)가 이 메모리 영역에 저장된다. | 
 +^ SwapTotal | 물리적인 스왑 메모리(physical swap memory)의 총량 |
 +^ SwapFree | 스왑 공간의 빈 영역의 총량 |
 +^ Committed_AS | 99.99%의 보장(이러한 부하에서는 OOM[Out of Memory]를 결코 발생시키지 않음)을 위해 필요로 하는 RAM의 추측값. \\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커널이 메모리를 지나치게 낭비하는 경우이다. \\ 즉, 1GB malloc를 사용한다고 할 때 실제적으로는 아무런 일도 발생하지 않는다. \\ 단지 메모리를 실제로 사용하기 시작할 때 malloc에 의해 필요로 하는 메모리가 요구된다. \\ 즉 저당을 잡히고 은행이 망하지 않기만을 바라는 상황이 된다. \\ 또 다른 경우에는 mmap 파일을 이용해서 두 프로세스 간에 공유할 경우가 포함된다. \\ Committed_AS는 최악의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RAM/swap의 추측값이다. |  
os/system/usage/mem/proc_meminfo.1263000317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2010/01/09 10:25 저자 starlits